제국의 위안부 표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쓰는 또 하나의 이유는 이 문제가 단지 ‘해결’을 기다리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오늘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위안부 문제는 일본과 한국에 존재하는 ‘미군기지’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위안부 문제를 ‘일본’만의 특수한 일로 생각하는 사고는 그런 구조를 보지 못하게 만든다. ‘평화’를 지향하는 현재의 운동이 평화를 만들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런 생각들을 정리해본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세계의 상식’에 이의제기를 하는 셈이된 이 책이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조금은 두렵기도 하다. 하지만 당장은 어떤 운명이 기다리고 있든, 언젠가는 이 책이 식민지 시대가 만든 우리 안의 분열들, 동아시아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역사가 만드는 대립과 분열로 인해 상처 입었던 이들에게, 그럼에도 여전히, 상처를 딛고 평화와 신뢰를 만들려 하는 이들에게, 누구보다도 먼저 보내고 싶다.

- 서문, "다시 '생산적인 논의'를 위하여"에서

제국의 위안부

서문

식민지의 아이러니

다시 '생산적인 논의'를 위하여

제 1부: '위안부'란 누구인가 - 국가의 관리, 업자의 가담

제 1장: '강제연행'과 '국민동원'의 차이

1. 죄와 범죄

2. '위안부'의 전신 '가라유키상' - 국가의 세력 확장과 이동하는 여자들

3. 우리 안의 협력자들

4. '강제로 모집된' 정신대

5. '소녀 20만'의 기억

제 2장: 위안소에서 - 풍화되는 기억들

1. 일본군과 '조선인 위안부' - 지옥 속의 평화, 군수품으로서의 동지

2. 전쟁터의 포주들

제 3장: 패전 직후 - '조선인 위안부의 귀환'

1. '일본인'에서 '조선인'으로

2. 극한상황 속에서

제 2부: 기억의 투쟁 - 다시, '조선인 위안부'는 누구인가

제 1장: 지원단체의 '위안부' 설명

1. 근본적인 오해

2. 정보 은폐와 '공적 기억' 만들기

3. 억압으로서의 '성노예'상

4. 박문관의 '위안부'

5. 소거되는 기억들

제 2장: 하나뿐인 '조선인 위안부' 이야기

제 3장: 공모하는 욕망들

제 4장: 일본인 지원자들의 문제

1. 페미니즘의 모순

2. '가해자'란 누구인가

제 5장: 일본인의 부정의 심리와 식민지 인식

1. '조선인 위안부'란 누구인가 - 소설 '메뚜기'의 위안부

2. 관여 주체는 누구인가

3. 그들만의 '법'

4. '애국'하는 위안부

제 3부: 냉전 종식과 위안부 문제

제 1장: 해석의 정치학 - '사죄와 보상'을 둘러싼 갈등

1. '위안부 문제'의 발생과 경과

2. '고노 담화'와 강제성

3. 여야가 합의한 아시아여성기금

4. '사죄수단'으로서의 기금

5. '위로금'인가 '속죄금'인가

6. 위안부/지원단체의 분열과 당사자우의의 모순

제 2장: 정치화된 일본의 지원운동

1. '위안부 문제'의 도구화

2. 정부에 대한 불신과 운동의 정치화

3. 지원운동의 변화와 향방

제 3장: 한국 지원운동의 모순

1. 서울 정대협 운동의 공과

2. 서울 정대협의 요구를 다시 생각한다

3.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읽는다.

제 4장: 세계의 생각을 생각한다

1.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2. 맥두걸 보고서의 '최종보고'

3. 미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4. ILO 조약권고적용전문가위원회 소견

5. 사라진 '조선인 위안부' 문제

제 5장: 일본 정부에 기대한다 - 새로운 조치에 나서야 할 세 가지 이유

1. 1965 한일협정의 한계

2. 미완의 1990년대 '사죄와 보상'

3. 세계의 시각과 일본의 역할

제 4부: 제국과 냉전을 넘어서

위안부와 국가

1. 위안부와 제국

2. 위안부와 미국

3. 위안부와 한국

새로운 아시아를 향해서 - 패전 70년, 해방 70년

1. 식민지 모순

2. 냉전의 사고

3. 해결을 위해

후기

참고문헌

부록1: 위안부 문제, 다시 생각해야 하는 이유

부록2: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성명